2. Network/Network

Introducing the BGPIGP & EGP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 내부RIPv1/v2, EIGRP, ISIS, OSPF하나의 조직이 IGP 전체를 관리한다.라우팅 정책이 다른 조직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최적의 경로를 ..
TCPTCP & UDP 에 대해 간단히 보고 ACL 로 넘어가겠다.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전송 여부 확인 , 재전송 가능(오류수정)대부분의 데이터 전송 용도 사용UDP (User Datagram Protocol)<ul style="list-style-type: disc;" data-k..
IP Routing IP address & Routing 스위치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Switching” 스위치는 이더넷 프레임의 Dest MAC 주소를 확인해 전송해야 하는 인터페이스를 결정한다.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 정보(Layer2) 기반 라우터는 IP 패킷(Layer3)을 살펴보고 Dest IP 주소를 확인해 올바른 인터페이스로 전송한다. 왜 모든 곳에서 MAC 주소를 사용 하지 않고, IP 주소를 사용해 라우팅을 할까? 💡 스위치는 MAC 주소 학습이 필요하다. 이러면 너무 해야 할 일이 많다. 라우터는 IP 정보를 기반으로 경로를 지정하기 때문에 쓰는 것이다. MAC 주소를 학습 하는 대신 서로의 네트워크에 대해 각 라우터에서 하나의 항목만 있으면 된다. 스위치는 이더넷 프레임을 전..
Multi Layer Switch Layer-2 계층 SW는 VLAN 내에서 이더넷 프레임만 스위칭한다. MAC address 기반으로 프레임을 전달하고, 필터링 한다. Multi-Layer SW 는 Layer-2 계층 SW 동작과 더불어 Lyaer-3 , Layer-4 기준의 필터링 및 VLAN 간 라우팅이 가능하다. SVI Inter VLAN Routing을 원할 때 라우터 또는 멀티 레이어 스위치가 필요하다. 각 VLAN에 대해 SVI (Switch Virtual Interface) 구성 후 IP 주소를 할당한다. IP 주소는 Default GW로 사용될 수 있다. 💡 즉, 스위치는 다른 VLAN끼리 통신이 힘든데 SVI 기술을 통해 가능토록 하는 것 ( 단말들은 SVI 를 바라보고 트래픽을 전송하..
01. Basic Config(기본 명령어) Step 1. Privileged EXEC 모드에서 스위치 Hostname 변경 Switch>enable Swich# Swich#configure terminal Swich(config)#hostname SW1 SW1(config)# Step 2. 스위치 EXEC 모드 패스워드 설정 SW1(config)#enable secret cisco SW1#show run | sec enable enable secret 5 $1$mERr$hx5r..... SW>enable Password: Step 3. 물리 and 원격 접근에 대한 패스워드 설정 SW1(config)#line con 0 # 물리적 접근 가능, 단 하나의 콘솔 포트만 존재 SW1(config-line)#..
본 포스팅에서는 cisco command에 대해 알아보겠다. 일단 아래의 표를 보자 각 모드에 대한 설명 1. User EXEC Mode 기본적인 모니터링 명령어를 실행 2. Privileged EXEC Mode 장비의 상세한 진단과 상태 확인, 디버깅 명령어 실행이 가능 3. Global Configuration Mode 라우터의 호스트 이름 변경, 인터페이스 설정 변경, 라우팅 프로토콜 구성 등 장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을 변경 4. Interface Configuration Mode 특정 인터페이스(예: Ethernet, Serial 등)의 설정을 변경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할당, 서브넷 마스크 설정, 인터페이스 활성화/비활성화 등의 작업을 수행 명령어 추가적으로 아래 명령어들을 입력하면 프..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네트워크에 관련되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네트워크란? 네트워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방법/기술이다. (네트워크 = 모든 IT 기술의 기본!! 네트워크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방법/기술) 이런 네트워크는 사이즈가 커질수록 규칙과 약속을 중요시 된다. 그런 규칙을 프로토콜 이라고 한다. (TCP, IP, HTTP 등) 이런 프로토콜은 각 계층마다 그 기능이 다르다. 따라서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결국 프로토콜의 집합이다. 그리고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해 인캡슐레이션 과정을 통해 데이터를 패키징 하게된다.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PC에서 다른 PC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데이터를 패키지화 하는 과정 최초 생성되는 데이터..
dorong9
'2. Network/Network'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