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지난 2024년 3월 30일에 CKA 를 최종적으로 취득하였다.
4월 부터 자격증의 유효기간이 3년에서 2년으로 줄어든다고 하여 급하게 준비하게 되었다.
취득하게 된 과정을 포스팅 하도록 하겠다.
개요
필자는 지난 23년 5월 부터 23년 11월까지 '카카오 클라우드 스쿨 3기 - 엔지니어 양성과정'을 들으면서 클라우드 기본 개념부터 실습까지 진행을 하였다. 그 과정에서 Kubernetes에 대해 배우게 되었고, CKA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은 욕심이 생겨 준비하게 되었다.
준비과정
필자는 3월 초 부터 본격적인 자격증 준비를 하였다.
Udemy 의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강의를 통해서 기초를 공부하였다.
그러나 3월 초중순 부터 또 다른 교육에 참가하게 되면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시간이 현저히 부족하게 되었다.
그래서 시험보기 1주일은 Udemy에서 제공하는 시뮬레이션 test를 통해서 반복학습을 하였다.
여러 후기들을 보면 Udemy의 난이도와 실제 테스트의 난이도가 비슷하거나 조금 어렵다고 해서 이 외에는 따로 준비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건 좀 오산이였다. (실제로 udemy 테스트는 모두 맞을 정도로 연습했다.)
생각보다 실제 문제의 난이도가 생각보다 어려웠고, 문제도 영어로 되어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이해하는데 시간을 많이 잡아먹었다. 그래서 겨우겨우 턱걸이로 합격을 할 수 있었다.
블로그들을 찾아보면 예상문제나 나왔던 문제들을 정리했던 블로그들이 많이 있으니, 꼭 보고 준비하도록 하자.
추가적으로 아래 사이트는 해외 dump 사이트 인데 시험을 보고나서 이 사이트를 알게되어 확인해보니까, 정말로 나왔던 문제들이 꽤나 있었다. 아래 사이트에서 나오는 문제들을 최대한 보고 시험을 보러 가도록 하자.
https://www.itdumpskr.com/CKA-practice-test.html
Linux Foundation인증 실제 시험문제, CKA 덤프문제집 - 모의시험
www.itdumpskr.com
출제되었던 시험 문제
기억에 남는 문제들만 적어보도록 하겠다.
1. Pod 의 로그를 모니터링하고 로그를 추출
2. NodePort를 통해 액세스 할 수 있도록 front-end-service 서비스를 생성하고 구성하고 front-end라는 기존의 pod로 routing 해라.
3. 멀티컨테이너 생성
4. networkpolicy 를 생성해서 '00' ns에 포함되어있는 pod를 allow 할 수 있게 port를 설정해라
5. 마스터노드만 v1.29.1로 업그레이드
6. NotReady 상태의 node 를 Ready 로 수정해라
7. PVC를 생성하고 PVC를 볼륨으로 마운트하는 POD를 생성 (hostpath 주의)
8. scale 을 통해 deployment 증량
9. cluserrole 생성 (리소스 타입 입력)
10. 생성되어있는 pod에 expose 를 통해 서비스를 생성
11. node selector 를 통해 원하는 노드에 pod 생성
12. 사이드카를 생성 (마운트 된 볼륨을 사용)